- 영문명
-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tyles in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of Project Instructional Methods on Learning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영선(Song Young-S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호, 1453~14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0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교수 방법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학습양식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둘째 주에 3일동안 온라인으로 조사하여 유효 표본 247부(94.32%)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교수 방법이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교수 방법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적응형 학습양식과 융합형 학습양식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교수 방법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발산형 학습양식과 수렴형 학습양식은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프로젝트 교수 방법에서 적응형 학습양식과 융합형 학습양식은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으로 Kolb가 개발한 4가지 학습양식은 특정한 교수 방법과 상관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실천적 시사점으로,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맞는 교수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rning style in the relationship of the impact of the project instructional method on learning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goa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days in the second week of December 2019 fo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the non-metropolitan area. 247 questionnaires (94.32%) were analyse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oject instructional method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ly, among the project instructional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adaptive learning style and converging learning style were a partial mediation of learning satisfaction. Thirdly, among the project instructional methods, diverging learning styles and converging learning styles do not mediate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aptive learning style and the convergent learning style we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project instructional method required by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suggest theoretical implications, it was checked that all four learning styles developed by Kolb were correlated with specific teaching methods. A method for designing instruction adapted to the learners learning style was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변인들의 개념과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