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Parasenecio (Compositae) of Korea by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정규영(Gyu Young Chung) 남기흠(Gi-Hum Nam) 박명순(Myung Soon Park) 정형진(Hyung Ji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9권 제2호, 323~3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국문 초록
한국산 박쥐나물속(Parasenecio)의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체세포 염색재수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인 초장, 경생엽수, 잎의 모양, 엽병 형태, 총포편수, 소화 수, 암술대의 털 존재 유무, 소화의 가는 통부와 법은 통부의 비, 열매의 크기 등이 종을 식별하는 형질로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형질을 기초로 할 때,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a var. auriculata), 나래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민박쥐나물(P. hastata subsp. orientalis), 참나래박쥐(P. koraiensis), 병풍쌈(P. firmus), 어리병풍(P. pseudotaimingasa)의 6분류 군에 대한 국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게박쥐나물(P. adenastylodes)과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matsumurana)의 분류학적 위치 및 국내 분포 여부에 대하여 추후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병풍함과 어리평풍의 체세포 염색제수는 모두 2n=60이었으며, 이중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은 일본산과 중국산의 염색계수와 일치하였으며, 병풍쌈과 어리병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Korean Parasenecio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ir taxonomic values.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length of whole plants, the numbers of cauline leaves, the shapes of leaf and petioles, the numbers of involucral bracts, floret numbers per head, presence of trichomes on the style, ratio between wide part and narrow part of floret and the size of achene were found to be a good characters for delimiting each taxa. Based upon these characters, six taxa, Parasenecio auriculala var. auriculata, 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P. hastata subsp. orientalis, P. koraiensis, P. firmus, P. pseudotaimingasa, were recognized about their distribution in Korea, but 2 taxa, P. adenostyloides, P. auriculata var. matsumurana, were needed to be studied their taxonomic position and distribution in Korea.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six taxa, P. adenostyloides, P. auriculata, 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P. hastata subsp. orientalis, P. firmus, P. pseudotaimingasa were 2n=60 and those of P. firmus and P. pseudotaimingasa were reported first in this study.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관찰 및 결과
고찰
적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