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ng-Net using 2,040 MPa High Strength Steel Wire for Rockfall and Debris-Flow Barrie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서상훈(Seo, Sanghoon) 최민형(Choi, MinHy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6호, 271~28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100% 해외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고성능 낙석방지울타리 및 토석류 대책시설용 Ring-Net 시스템의 국산화를위하여 Ring-Net System의 주요 구성요소인 링형 포획망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개발된 링형 포획망은 직경 2.8 mm의 2,040 MPa급 고강도 강선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시뮬레이션과 실물성능시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7~19/2.8/300 링형 포획망의 3-Ring 파단하중은 79.8~329.0 kN, 3-Ring의 에너지 저감능력은 2.9~8.7 kJ로 분석되었으며, 기존직경 3.0 mm의 1,770 MPa급 강선으로 제작되는 링형 포획망의 성능과 대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존 기술대비약 13% 저감된 자중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고성능 낙석방지울타리의 경량화 및 시공성 향상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Ring-Net, a major component of the Ring-Net System for the localization of a high-level debris-flow barrier, which is fully applied with foreign technology. Ring-Net was constructed using the 2,040 MPa class high-strength steel wire with a 2.8 mm diameter,. Its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and a 3-Ring Test (ETAG 027). As a result, the 3-Ring breaking load of 7-19/2.8/300 Ring-Net was analyzed to be 79.8-329.0 kN. The 3-Ring energy dissipating capacity was 2.9-8.7 kJ, which is equivalent to the performance of the Ring-Net made of 1,770 MPa class wires with a 3.0 mm diameter. However,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with a 13% weight redu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it is believed to be advantageous for lightening the high-level Rockfall & Debris Barrier and improving its construction capability.
목차
1. 서 론
2. 링형포획망의 정의 및 시험 방법
3. 링형 포획망 개발
4. 링형 포획망 시뮬레이션 검토
5. 링형 포획망의 3-RING 실물성능 실험
6.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