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unoff According to Application of SWMM-LID Element Technology (II): Parameter Uncertainty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응석(Kim, Eung Seo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6호, 445~45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I)의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요소기술별 매개변수의 유출 민감도분석을 바탕으로 유출에미치는 불확실성 정도를 정량화하여 분석하였다. 불확실성을 분석을 위해 매개변수 불확실성, 유출의 불확실성, 매개변수와유출에 미치는 정도의 불확실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매개변수 불확실성지수의 경우 전체적으로 불확실성 지수 자체가낮게 나타났으며, 유출의 불확실성의 경우 첨두유출량의 불확실성 지수가 총유출량의 불확실성 지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LID 요소기술자체는 저빈도 소규모 강우를 저류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첨두강우량의 불확실성 지수가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유출에 미치는 불확실성 정도를 분석한 결과 생태저류지 및 빗물정원의 storage depth가 불확실성이낮았으며 빗물통의 height 매개변수가 가장 불확실성 지수가 높았다. 향후 실험 및 연구를 통해 국내에 맞는 매개변수 범위를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도시개발 및 비점오염 저감 연구와 저빈도 강우 저류시설 설계 시 도움을 주리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degree of uncertainty associated with runoff based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runoff parameters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LID) element technology of study (I). Uncertainty was analyzed for parameter uncertainty, uncertainty of runoff, and uncertainty about the degree of parameter and runoff. Parameter uncertainty indices showed lower uncertainty indices as a whole and uncertainty indices of peak runoff were higher than that of total runoff in runoff uncertaint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LID element technology itself is intended to store low-frequency small-scale rainfall, so that the uncertainty index of peak rainfall seems to be highly uncertai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uncertainty degree associated with runoff, it was found that the uncertainty of storage depth of bio retention cell and rain garden was low, while the heaviness parameters of rain barrel had the highest uncertainty index. In future experiments an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parameter range suitable for Korea, which will be helpful for urban development,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designing of low frequency rainfall storage facilitie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적용 및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