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olk Plants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정규영 박명순 남보미 정대희 이철호 신연희 김현준 강신호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4권 제4호, 379~3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9개 시․군지역의 32개소에서 주민 8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103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총 92과 222속 274종 2아종 29변종 6품종의 총 31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227종류, 약용 174종류, 관상용 14종류, 유지 5종류, 향신료 5종류, 염료 4종류, 섬유 1종류, 향료 1종류, 연료 1종류, 기타 32종류로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 부위로는 잎, 뿌리, 열매,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은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80대에서 가장 낮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the folk plants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rom 1,103 survey sheets of 83 residents at 32 places of 9 counties and cities from March to October, 2010, the folk plants in the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consisted of a total 311 taxa; 92 families, 222 genera, 274 species, 2 subspecies, 29 varieties, and 6 form. The use by its usage was: 227 taxa; Edible, 174 taxa; Medicinal, 14 taxa; Ornamental, 5 taxa; Oil, 5 taxa; Spice, 4 taxa; Dye, 1 taxa; Fiber, 1 taxa; Aroma, 1 taxa; Fuel, 32 taxa; Others, respectively, so the edible use is the highest. The most useful part was the leaf, followed by root and fruit. The consistency comparison between the scientific name and the local name were the highest in the 50’s and the lowest in 80’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