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Leaf Morphological Variation of 11 Natural Populations of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송정호 허성두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4권 제5호, 540~54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국문 초록
고로쇠나무 11개 자연집단의 잎의 14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분석을 실시하였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14가지 양적특성들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 내 개체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형질들에서 총 분산 가운데 집단 내 개체 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간 분화정도를 알아보고 형질간 상호비교를 위하여 표준화시킨 Dij값은 엽신장/엽병장(0.90), 상열편폭(0.85) 및 엽신장과 중열편폭(0.83) 특성들이 다른 형질들에 비해 이탈정도가 큰 형질들로 나타났다. 또한 14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전체평균 Dij값은 광양(1.36)과 청양(1.30) 집단이 집단분화가 가장 큰 값을 보인반면 울주(0.30)와 정선(0.44) 집단이 가장 작은 값을 보여 조사된 집단들 중 울주와 정선집단이 고로쇠나무 잎의 형태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평균집단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was examined in 11 natural populations of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in Korea. Nested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in all 14 quantitative characters. In all the leaf characters, variance component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among populations.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ration of Blade length to Petiole length (0.90), Uower lobe width (0.85), Blade length (0.83), and Middle lobe width (0.83) showed the relative high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differentiation (Dij) among populations. Of the ten populations, Gwangyang (1.36) and Cheongyang (1.30) were highly differentiated based on the total mean Dij of fourteen morphological characters, while Ulju (0.30) and Jeongseon (0.44) were scarcely differentiated.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