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Dual Mediating Effects of Addictive Tendencies of Smart Devices in Mothers and their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지민(Ji-Min LEE) 황예은(Ye-Eun HW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4호, 25~3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 ~ 6세의 유아가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와 G시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만 4 ~ 6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84명이다.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아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은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이중매개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필요한 상담 및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또한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유아 스마트기기 사용의 올바른 사용 방법 및 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cribe the performance of a group of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4 to 6 years by observing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addictive tendenciesof smart devices in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re were dual mediating effects of addictive tendencies of smart devices in mothers and their children between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The study reveals the need for providing basic materials via counselling and education for mothers so as to supply them with theoretical grounds concerning the right method to approach the effect of smart devices on their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