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 s parenting behavior on the children s subjective well-being and media device addiction: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주연(Ju-Yeon LEE) 이지영(Ji-Young RH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4호, 263~27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 패널데이터(2017)를 이용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데이터의 1,452명을 데이터를 활용하여 PASW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의 빈도와 백분율, 측정도구의 신뢰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및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 미디어기기 중독, 상호작용 간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 미디어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For this study, we used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Survey(2017)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media device addi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on that effec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1452 subjects, PASW 23.0 was employed to conduct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were: First, there was a positive/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edia device addic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eco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was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media device addiction. Last, mother-child interac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motehr’s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media device addi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