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Family Risk Factors and Self-Efficacy on Risk Behavior with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도현지(Hyun-Ji DO) 한상철(Sang-Chul HAN)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4호, 347~35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가정위험요인과 자기 효능감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지역 중학교 남·여 학생 총 22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정위험요인은 위험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가정위험요인의 경험이 높을수록 위험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은 위험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위험행동이 낮아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가정위험요인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자기 효능감과 같은 개인적 보호요인을 강화함으로써 위험행동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 risk factors and self-efficacy on risk behavior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 total of 222 male and female students at middle schools in Daegu. The collected data wer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isk factors of adolescents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risk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family risk factors, the higher the risk behavior. Second, adolescents self-efficacy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risk behavior.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lower the risk behavior.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rotect risk behaviors by reducing family risk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and strengthening personal protective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