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Emotional Regulation with Early Childhood Fathers on Discipline Styl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하은정(Eun-Jung HA) 이지민(Ji-Min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4호, 359~37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양육 스트레스 및 정서조절양식이 아버지의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아버지의 바람직한 훈육방식과 훈육능력을 증진하여 자녀훈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유치원 3곳에 재원 중인 5세, 6세, 7세 유아의 아버지 267명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 정서조절양식, 훈육방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t-test,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월 소득 및 학력은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능동적 정서조절과 회피 분산적 정서조절은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hild discipline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father 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parenting str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father s discipline sty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fathers of 5, 6, 7 years old children who registered in 3 kindergarten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n father s parenting stress, emotional regulation styles, and disciplinary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ather s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scipline methods. Second, it was found that active emotion regulation and avoidance-distributed emotion regul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scipline metho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