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leyera japonica Extract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안정좌 황태영 김현수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8권 제2호, 153~15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 비쭈기 나무의 잎 부분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비쭈기 나무 잎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비쭈기 나무 추출물 처리 시 항산화(IC50, 22.90 ㎎/L) 및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았다. 또한, 비쭈기 나무 추출물 처리시tyrosinase 활성저해 및 멜라닌 함량 저하(IC50, 101.90 ㎎/L)를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비쭈기 나무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개선 효과를 비롯한 기능성 화장품에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functional materials by examining a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with the extract of Cleyera japonica leaf. Cleyera japonica extract showed a low cytotoxicity against murine melanoma B16F10 cells. In little or no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we showed that the treatment with Cleyera japonica extract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22.90 ㎎/L), similar to ascorbic acid (IC50, 18.65 ㎎/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In particula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wa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eyera japonica extract could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Additionally, Cleyera japonica extract showed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IC50, 178.90 ㎎/L), similar to kojic acid (IC50, 89.13 ㎎/L) and decreased melanin content (IC50, 101.90 ㎎/L) higher than the control arbutin level (IC50, 100.65 ㎎/L), especially.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leyera japonica extract may be an effective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s such as skin whitening material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