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uicide Gatekeeper Progra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은(Lee Jung 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4호, 785~8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자살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2020년 8월 10일부터 27일까지 PICOS 기준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여 총 13편의 분석대상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자살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543으로 중간 수준의 효과였다.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은 자살예방 관련 지식, 기술, 태도의 향상에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프로그램의 토대가 된 이론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자살예방역량, 동기면담, QPR 자살예방모델 등이었다.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은 중고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방문간호사와 교원에게서 가장 높았다. 또한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의 목표 달성에는 참가자가 직접 다양한 실습과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집단활동의 교육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domestic suicide gatekeeper program. From August 10 to 27, 2020, data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PICOS standard, and a total of 13 studi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omestic suicide gatekeeper program was 0.543, which was a moderate effect size. The gatekeeper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The most effective theories based on the program were suicide prevention capability, motivational interview, and QPR suicide prevention model. The gatekeeper program was most often targeted at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highest among visiting nurses and teachers. In addition, in achieving the goal of the gatekeeper grogram, the group activity education method that allows participants to directly participate in various exercises and activities was the most effective.
목차
Ⅰ. 서 론
Ⅱ.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