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ancy-Values and Learning Engagement in Music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등소염(DENG XIAOR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4호, 1231~12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동기이론 중의 하나인 기대-가치이론(Expectancy-Value Theory; Eccles & Wigfield, 1995)을 이용하여 중국과 한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국가와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음악수업에 대한 가치지각과 기대믿음 및 학습참여에 대한 차이와 측정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603명(중국학생=303명, 한국학생=300명)이며, 자료는 기술통계, 2(국가)×3(학년)×2(성별) 다변량 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삼원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음악수업에 대한 내적 가치를 훨씬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음악수업에 대한 가치지각과 기대믿음 그리고 학습참여 수준이 훨씬 더 높았지만, 국가와 학년별에 따른 기대-가치 지각과 학습참여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결과는 중국과 한국의 여자 중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음악수업의 가치와 기대믿음을 높게 지각하고 학습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expectancy-value and learning engagement in music classes differ across nationality, grades, and gender,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dependent variables. Subjects were 603 middle school students (Chinese students=303, Korean students=300).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2(nationality)×3(grades)×2(gender) MANOVA, and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ree- way MANOVA indicated that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ades and gender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level of intrinsic value of music classes. Girls with high grade reported higher value perceptions, expectancy-related belief, and active learning engagement during music clas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emale students are willing to perceive higher expectancy-values in music classes and pour efforts into learning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