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arnings Management Based on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and Professionalism of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지상현(Ji, Sang Hyun) 류예린(Ryu, Ye Rin) 이균봉(Lee, Kyun Bong)
- 간행물 정보
- 『회계정보연구』제31권 제1호,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회계 · 공시전문인력 및 인력의 전문성에 따라 기업의 회계처리 투명성이 제고됨으로써 경영자의 이익조정 제어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를 검증하였다. 재량적 발생액을 이익조정 측정치로 활용한 선행연구에서는 내부 회계·공시전문인력이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부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익조정의 대용치로 그 유용성이 검증된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Book-Tax Difference)를 이익조정 측정치로 활용하여 내부 회계·공시전문인력이 경영자의 이익조정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같이 Dechow et al(1995)의 수정Jones모형에 따른 재량적 발생액뿐만 아니라 최근의 연구에서 기존의 수정Jones모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된 Kothari et al.(2005)의 성과대응 (performance matched)재량적 발생액을 이익조정의 측정치로 활용하였다. 또한 내부 회계·공시전문인력을 전문성에 따라 구분하여 각 전문인력이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개별적으로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내부 회계·공시전문인력을 보유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동일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의 강건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연구표본은 회계·공시전문인력 및 과세소득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2004년∼2008년까지의 12월 결산 비금융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공시전문인력의 보유뿐만 아니라 인력수 모두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 및 재량적 발생액과 음(-)의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부 회계·공시전문인력 중 공인회계사 및 기타 전문가는 대체로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 및 재량적 발생액과 음(-)의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만을 놓고 볼 때, 내부회계·공시전문인력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 편, 이와 같은 결과는 내부 공시전문인력을 보유한 기업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대체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복수의 이익조정 측정치를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회계·공시전문인력 및 인력의 전문성이 경영자의 이익조정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써, 회계·공시전문인력의 필요성 및 역할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인력의 보유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and examine whether the system, which was introduced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would fulfill by considering the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and their expertise.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the retention of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and its details personnel, which are consist of CPA(certified public accountant), Lawyer, and so on, in charge of the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on the earnings management of managers. In this study, the proxy of earnings management are Book-Tax Difference(BTD) and Discretionary Accruals(DA) that were respectively estimated up by Dechow et al(1995) and Kothari et al(2005). Empirical analysis covered data from 2004 to 2008 over a period of five years for which data on the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of the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were obtainable. The final sample included 2,593 companies listed in the stock market, settled accounts at the end of December.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between retention of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and the measurement of earnings management, BTD and DA, between CPA and Dr and the measurement of earnings management, BTD and DA.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additional analysis that excluded sample didn t supplement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This results provides insight into the question of why retaining and training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are important to decrease the earnings managements of managers. Also standard-setters need to intensify policy to enhance overall the possession and ratio of In-house Accounting·Disclosure Expert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설계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