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apitalization Estimation of Labor Cost and the Discriminated Value Relevance of Labor Costs Information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장지인(Jang, Jee In) 송재식(Song, Jae Sik)
- 간행물 정보
- 『회계정보연구』제29권 제4호, 159~18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건비의 자본화율, 인적자본의 규모 등을 추정하여 하이텍기업과 로텍기업 사이 인건비정보의 차별적 가치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9년부터 2008년까지 10년 간의 시계열자료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표본은 하이텍기업 10개 업종 3,576건, 로텍기업 30개 업종 4,279건 등 총 7,855건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건비의 비중은 하이텍기업 21.55%, 로텍기업 14.62%로서 하이텍기업이 로텍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건비와 시장가치의 비율은 하이텍기업이 19.06%, 로텍기업이 13.43%이며, 인건비와 시장가치에서 장부가치를 차감한 차액에 대한 비율은 하이텍기업이 7.5350, 로텍기업이 6.9289 등으로 하이텍기업이 로텍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하이텍기업과 로텍기업 인건비의 자본화율은 각각 9.10%, 7.80%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 집단 사이 차이분석 결과 하이텍기업이 로텍기업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이텍기업이 로텍기업보다 종업원에 지급하는 인건비는 높지만 자본화율이 높아 기업가치 증대에 보다 더 기여하며, 인건비 자본화의 감가상각을 고려한다면 기업가치에 기여하는 기간도 길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하이텍기업과 로텍기업 인적자본의 규모는 각각 8.54%, 5.63%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이텍기업이 로텍기업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하이텍기업이 로텍기업보다 인적자본의 크기가 보다 더 큼을 의미한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인건비 지출 비율이 높을수록 시장가치 비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하이텍기업의 인건비 지출 비율이면 1, 로텍기업의 인건비 지출비율이면 0으로 하는 더미변수를 투입하여 시장가치 비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형을 분석한 결과 하이텍기업의 인건비 지출 비율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건비정보가 인건비의 자본화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며, 하이텍기업 인건비의 자본화율이 로텍기업 인건비의 자본화율보다 크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subjects were sampled from listed business entities on KOSDAQ and KOSPI over the 10 years period from 1999 to 2008. 7,855 Samples were divided into 3,576 high-tech business entities and 4,279 low-tech on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costs capitalization rate was 9.10% for high-tech business entities and 7.80% for low-tech ones, thus presenting the fact that high-tech business ent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bor costs capitalization rate than that of low-tech ones. Second, the size of labor costs capitalization, namely the labor coefficient, was 8.54% for high-tech business entities and 5.63% for low-tech ones, thus presenting the fact that high-tech business ent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ize of labor capitalization than low-tech ones. Third, when the increase rate of net profit was high, it systematically had a positive (+) influence upon the rate of market values; when the rate of labor costs was high, it had a positive (+) influence upon the rate of market valu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