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Insomnia Symptoms, Sleep Awakening, and Sleep Hygiene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with Insomnia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윤이(Yang, Yun-Y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3호, 721~7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불면증을 호소하는 과민대장증후군 대학생의 불면증 증상 현황과 수면 전 각성, 수면위생 수행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D시와 U시 소재 4개 대학교 대학생 중 불면증을 호소하는 과민대장증후군 대상자 13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불면증 증상과 수면 전 각성, 수면위생 수행도 척도에 대한 기술통계, 불면증 증상별 수면 전 각성, 수면위생 수행도 척도의 문항에 대한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민대장증후군이 공존하는 불면증 대학생의 불면증 증상은 입면 지연, 수면분절, 조기 기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면 지연은 수면 전 과도한 인지적 각성과 가장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셋째, 수면 분절은 수면 전 과도한 인지적 각성뿐만 아니라 신체적 각성과도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면증을 호소하는 과민대장증후군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불면증 중재 방안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We aimed to identify insomnia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with insomnia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nd correlate pre-sleep arousal and sleep hygiene performance according to insomnia symptoms. We conducted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of 138 participants who complained of insomnia in a study that identified the prevalence and effects of insomnia among college students with IBS from two cities in South Korea. We analyzed the questions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re-Sleep Arousal Scale (PSAS), and Sleep Hygiene Practices Scale (SHPS). Analytical tests, such as those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2.0. Among our participants, the most common insomnia symptoms were difficulty initiating sleep, difficulty maintaining sleep, and early morning awakening, in order of frequency; 52.9% (n=73) experienced the most common combination of all three symptoms. Difficulty initiating sleep was highly correlated with excessive cognitive arousal before sleep.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sleep was highly correlated with excessive cognitive arousal as well as physical arousal. It is necessary to reduce cognitive arousal before sleep through cognitive therapy, which can provide reasonable awareness of sleep to college students with insomnia and IBS who experience delayed elevation, and to provide education about the circadian rhythm and sleep homeostasi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