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omplex Trauma on Midlife Women’s Anger: Self-forgiveness and Mediation of Deleterious Effects on Self-syst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순자(Song Sunja) 변상해(Byeon Sangha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3호, 779~8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01
국문 초록
생존을 위해 사는 절박한 어린 시절을 경험한 중년기 여성은 상처, 불안, 긴장을 가지고 자신을 방어하고 회피하면서 굳어진 마음으로 역할상실과 함께 정체성의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 영향요인이 자기용서와 자기체계손상을 통하여 분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서울·경기 소재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1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157부를 SPSS/WIN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용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체계손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자기용서가 분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여성의 자기체계손상이 분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분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분노를 낮출 수 있는 자기용서를 통한 복합외상치유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중년기 여성 가족의 행복 추구를 위한 상담과 교육에 긍정적인 기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Having developed defensive and avoidant attitudes from the experiences of desperate childhood with a thirst for survival, women in the midlife stage of a typical life cycle face an identity crisis.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s how the factors of middle-aged women’s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affect anger, moderated by self-forgiveness and deleterious effects on the self-system.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25.0 based on 157 units of the survey collected out of 170 units distributed among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First, the research found that middle-aged women’s complex traumatic experienc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forgiveness. Second, the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leterious effects on the self-system. Third, middle-aged women’s self-forgiveness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ger. Fourth, the deleterious effects on the self-system of middle-aged wome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Fifthly, middle-aged complex traumatic experience has no relationship to anger. As a result, it is crucial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for a recovery program from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sychological elements that can relieve anger through self-forgiveness, and this research deems advantages to counseling families of middle-aged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