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ading Teaching in Korean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현묵(Jang Hyun m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3호, 1105~11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한국어 수업에서의 읽기 교수 내용과 방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2언어 읽기 이해와 읽기 교수 원리를 살펴보고 읽기 수업의 구성과 방법, 교사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읽기 교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한국어 교사 45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31일부터 9월 29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읽기 주요 지도 내용으로 ‘텍스트 내용 관련 지도’와 ‘텍스트 관련 어휘 및 문법 지도’가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읽기 단계별 비중으로는 대부분의 교사가 읽기 중 단계, 읽기 후 단계, 읽기 전 단계의 순으로 비중을 두고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단계별 주요 활동으로는 ‘텍스트 주제 관련 내용 스키마 활성화하기’, ‘텍스트 내용 관련 질문 제시하기’, ‘텍스트 내용 이해 확인 질문 제시하기’가 각각 읽기 전 단계, 읽기 중 단계, 읽기 후 단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결정짓는 요인에 대해서는 ‘텍스트 지식’과 ‘전략적 지식’을 주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업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has its purpose in identifying the reading instruction within Korean classes through a survey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For this, the study first delved into reading comprehension of a second language and the theory of reading instruction to examine the composition, method, and role of instructors in the reading classes. Also, based on the findings, a survey about the content and method of reading instruction was planned and executed to thirty Korean instructors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from August 31st, 2020 ~ September 29th, 2020.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main instruction contents for reading mostly consisted of ‘detailed explanation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vocabulary and grammar instruction’. As for specific gravity by steps of reading, most of the instructors gave weight in the order of reading stage, after-reading stage, and before-reading stage. For main activities by reading stages, ‘Activating the content schema related to the text subject’, ‘Suggesting a question about the text content’, and ‘Suggesting a question to confirm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content’ each showed high rates. Also,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responses on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reading and the actual reading instruction contents executed in real class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제2언어 읽기의 교수 원리와 수업 구성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