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s Play and Problem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인(Lee, Ji 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3호, 1251~12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사회적행동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여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의 놀이성이 문제행동과 관계를 맺을 뿐 아니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이해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P시에 소재한 6개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342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놀이성은 친사회적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유아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나아가 유아 놀이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유아 놀이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대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확인되어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play and problem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yability of children is related to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addition,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conducted a study on 342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old who are enrolled in 6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P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o-social behavior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children s play and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eople will be able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hildren s play and pro-social behavior are necessary to solve their problem behavior.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