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 예측의 정확도 비교

이용수 2

영문명
Accuracy of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s Based on Total and Standard Keratometr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박세영(Se Young Park) 최진석(Jin Seok Choi) 박규홍(Kyu Hong Pak) 정성근(Sung Kun Chung) 곽주영(Joo Young Kwag)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11, 1265~127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Barrett Universal II 공식과 Barrett Toric Calculator에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굴절예측 정확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위해 본원을 내원한 환자 111명 11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IOL Master 700?? (Carl Zeiss Meditech AG, Jena, Germany)으로 Barrett Universal II 공식 또는 Barrett Toric Calculator를 사용한 굴절예측치와 수술 후의 현성굴절검사값을 이용하여 평균절대오차를 구하였다. 난시교정인공수정체를 넣은 대상 중 각막후면난시가 0.3 diopters (D)보다 큰 그룹을 분류하여 두 방법의 평균절대오차를 비교했다. 결과: Barrett Universal II 공식, Barrett Toric Calculator의 경우 구면렌즈대응치에 대해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의 평균절대오차의 차이는 각각 0.021 ± 0.102 D (p=0.65), 0.015 ± 0.121 D (p=0.80)였다. 난시교정인공수정체를 넣은 대상 중 후면각막난시가 0.3 D보다 큰 경우 구면렌즈대응치와 난시에 대한 평균절대오차 차이는 각각 -0.020 ± 0.107 D (p=0.70), -0.023 ± 0.055 D (p=0.50)였다. 결론: 전체각막곡률측정법은 표준각막곡률측정법과 비슷한 굴절예측 결과를 보였고, 난시교정인공수정체를 삽입했을 때 후면각막난시가 큰 경우에도 전체각막곡률측정법이 표준각막곡률측정법에 비해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accuracy of standard and total keratometry data obtained using the Barrett Universal II and Barrett Toric Calculator. Methods: In total, 111 eyes of 111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cataract surgery from February 2019 to September 201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otal keratometry and standard keratometry data were obtained using the Barrett Universal II and the Barrett Toric Calculator; mean absolute errors were derived by using preoperative IOL Master 700?? (Carl Zeiss Meditech AG, Jena, Germany) data and 2-month postoperative manifest refraction data. The mean absolute errors of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in terms of a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greater than 0.3 diopter (D) in patients fitted with Toric intraocular lenses. Results: Using the Barrett Universal II formula, the mean absolute error spherical equivalent difference between total keratometry and standard keratometry was 0.021 ± 0.102 D (p = 0.65) when the Barrett Toric Calculator was used. The mean absolute erro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were 0.015 ± 0.121 D for the spherical equivalent (p = 0.80) and 0.005 ± 0.870 D for the cylinder measurement (p = 0.94). In terms of a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greater than 0.3 D, the mean absolute error spherical equivalent and cylinder measurement differences were -0.020 ± 0.107 D (p = 0.70) and -0.023 ± 0.055 D (p = 0.50) in patients fitted with Toric intraocular lenses. Conclusions: The total keratometry method, which directly measures posterior corneal curvature, yields data comparable to those of the standard keratometry method. When the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was greater than 0.3 D,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keratometry and standard keratometry data of patients fitted with Toric intraocular lense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세영(Se Young Park),최진석(Jin Seok Choi),박규홍(Kyu Hong Pak),정성근(Sung Kun Chung),곽주영(Joo Young Kwag). (2020).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 예측의 정확도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1 (11), 1265-1272

MLA

박세영(Se Young Park),최진석(Jin Seok Choi),박규홍(Kyu Hong Pak),정성근(Sung Kun Chung),곽주영(Joo Young Kwag).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 예측의 정확도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1.11(2020): 1265-127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