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on sensory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ies of 2 year old infa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채영란(Chae, Young R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127~1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에 기초한 감각적 탐색활동이 2세 영아의 감각처리 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세 영아 27명(실험집단 13명, 비교집단 14명)이고, 실험집단은 그림책 읽기 활동 후 감각적 탐색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그림책 읽기 활동 후 자유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영아의 언어능력 검사도구와 감각처리능력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검사하고 실험처치 후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에 기초한 감각적 탐색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영아가 비교집단 영아 보다 감각처리 능력과 언어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타나났다. 이는 영아를 위한 다양한 감각적 탐색활동이 영아 발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on sensory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ies of 2 year old infa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 infants aged 2 years (13 experimental groups, 14 comparativ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ensational exploration activities after reading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free play activities after reading picture books. Pre-tests were conducted using an infant s language proficiency test tool and sensory processing test tool, and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nfants who performed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had improved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fants. It is thought that various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for infant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nfant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