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bi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수(Hee-Soo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305~3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이 지각한 정서지능과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 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남 소재의 D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61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정서지능 척도, 사회성 척도, 학교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 t 검증,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서지능은 사회성과 학교생활 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정서지능의 하위척도들이 사회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의 동기화와 정서조절이 사회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의 하위척도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 정서인식과 동기화가 학교생활 적응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지능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점수 차이는 없었고 학교규칙에서만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에 전문대학 학생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정서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bi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junio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D junior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nam-do.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he sociability scale and the school-related adjustment scale.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bi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econd, motivation and emotional management predicted sociability. Third, emotional awareness and motivation predicted school-related adjustmen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der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ore according to gend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 only in school rules. Therefore, it is prop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programs related to emotions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junior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