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service training needs of adult literacy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정은(Jeong Eun Son) 김한별(Hanbyul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785~8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교육에 있어서 문해교사들은 어떠한 교육적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해교사는 문해교육 현장의 상황에 의해 첫째, 행정적 업무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둘째, 사명감 강화를 위한 교육, 방법적 측면에서 참여형 교육, 넷째, 상담자로서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다섯째, 심리적 소진과 갈등 해결을 위한 교육적 요구로 나타났다. 이는 문해교사 대상 연수교육 시 문해교사를 기능적으로 ‘가르치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진행해왔음을 인식할 수 있다. 향후 문해교사 대상 연수교육은 ‘가르치는 사람’을 넘어 ‘교육자’로서 현장의 문해교사 역할을 인지하고 이들이 교육자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기 위한 역량 개발 연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what in-service training needs literacy teachers have in training education for literacy teachers. As a result, literacy teachers are based on the situation in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 first, education to develop administrative work ability, second, education to strengthen sense of mission, participatory education in terms of method, fourth, education to develop competency as a counselor, and fifth, psychological. It appeared as an educational demand for exhaustion and conflict resolution. It can be recognized that literacy teachers have been functionally defined as teachers when training for literacy teachers. In the future, training education for literacy teachers needs to be trained to develop competency in order to recognize the role of literacy teachers in the field as ‘educationists,’ not just ‘teachers’, and to establish themselves as educa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문해교사의 연수교육에 대한 요구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