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Key Competencies Curriculum Design in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영근(Jeong, YoungKeun) 민용성(Min, YongS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951~9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양국의 핵심역량 정책 도입 과정과 국가 교육과정 구성 측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일본이 한국보다 교과 교육과정 구성에 더 많은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핵심역량으로서 ‘자질·능력’을 지식·기능, 사고력·판단력·표현력, 태도의 세 가지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 틀에 따라 교과 내용을 재구조화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이러한 구분과 재구조화는 역량 교육과정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나게 한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일본의 일반·범용적 역량이 모든 교과에 걸쳐 강조 또는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경우도 범교과 역량을 기반으로 총론의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by comparing core competency curricula in Korea and Japan. In Korea and Japan, policy studies on key competencies were conducted research institutes and reflected in their policies and national curriculum. The two countries maintained the entire curriculum framework. However, while Korea is presenting subject competency and skills, Japan has different goals and contents depending on i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In this regard, Japan has made more changes than Korea within the curriculum framework. Restructuring the subject contents according to their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such as Japan, needs to be reviewed. However, like Japan s general competency, Korea also needs to explore its cross-curricular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
Ⅲ.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과정
Ⅳ.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비교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