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age and Formation Factors of Taekwondo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호(Lee, DongHo) 양정모(Yang, JeongM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1139~11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태권도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를 갖게 된 형성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함으로써 학교체육에서의 태권도 중요성과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실현함과 동시에 태권도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C도에 위치한 G 교육대학교 태권도 수업을 수강한 예비교사 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은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이 태권도에 대해 인식하는 이미지는 한국문화가 가장 높게 범주화 되었고, 무도, 스포츠, 무술, 무예 순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이 태권도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 요인은 교육적 요인, 대중매체, 간접경험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는 학교 체육에서 태권도의 다양한 가치를 올바르게 구현할 수 있는 교사들의 역량과 지원 방안에 대한 현실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aekwondo and various educational value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activate Taekwondo by exploring what image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bout Taekwondo and what factors are formed to have such image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aekwondo classes at G Education University located in C provinc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rough open questionnaire.,First, Korean culture was the highest category for the image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about Taekwondo, followed by martial arts, sports, martial arts, and martial arts.,Second, the factors that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med Taekwondo image wer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factors, mass media, and indirect experience.,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realistic discussion on teachers competence and support plan to properly implement various values of Taekwondo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