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 on performance anxiety : Focusing on mediated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정(Lee, Eun Jung) 최웅용(Choi, Woong Yong) 김민수(Kim, Min S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1185~12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지역의 일반계고등학교 세 곳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96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를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인지적 유연성은 감소하여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수행불안도 증가하여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행불안은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 상관으로 인지적 유연성이 높을수록 수행불안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평가염려 완벽주의로 인해 겪을 수 있는 수행불안에 인지적 유연성이라는 변인이 보다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인지적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접근과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상담 현장에서 진행되는 심리적 개입이 인지적 유연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performance anxie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For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enrolled in three general high schools in Ulsan, and 396 parts were used for final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Sobel Test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lower the cognitive flexibility, indicating a negative correlation. On the contrast, the higher the level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the higher the performance anxiety,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performance anxie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flexibi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flexibility, the lower the performance anxiety. Second, cognitive flexibility becomes significant in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anxiety. This suggests that the variable of cognitive flexibility is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anxiety that can be experienced by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Based on the result, it can be known that approaches and interventions that can increase cognitive flexibility should be taken. Also, it suggests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 during education and counseling in the school field can be effective when based on cognitive flexi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