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Exercise desire and Training attitude perceived by gymnas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화(Kim, Dong hwa) 박규남(Park, Kyu na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1255~12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체조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 운동욕구와 훈련태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되어 있고 제45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 시・도대항 및 대학・일반 체조대회에 참가한 251명의 선수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코칭행동, 운동욕구, 훈련태도와 관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체조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 중 민주적 지도자가 선수들의 운동욕구 하위요인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 욕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조선수들의 운동욕구 하위요인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 욕구는 훈련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코칭방법으로 인하여 선수들의 운동욕구와 훈련태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향후 지도자 및 선수들의 효율적인 훈련환경 조성을 위한 정보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motor desire and training attitude perceived by gymnasts. For this reason, it is registered with the 2018 Gymnastics Association, and it collects data from 251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45th Culture, Sports and Tourism Department Jangwanggi National City・ Road Competition and University・General Gymnastics Tourna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related to gymnastics and training attitud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irst found that the democratic leaders of coaching behavior perceived by gymnas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s, competence, and autonomy needs of athletes motor desire sub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s, competence, and autonomy needs of gymnastics sub-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raining attitudes. This suggests that the coaching method viewed from the athlete s point of view in the sports field is closely related to the athlete s desire for exercise and training attitude, and is an information material for future guidance and the creation of an efficient training environment for athletes. It is meaningful to present a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