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ualitative research of Professor s Perception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Services f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순(Park Youngs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1393~14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스트레스로 정신적, 적응적 고통을 겪는 대학생에게 제공되는 심리사회적 지원이 그 실효성을 높이고 개인과 사회에 실제적 도움이 되도록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 지방의 사립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본 면담 일주일 전에 미리 작성한 사전 질문지를 연구 참여자의 메일로 발송하여 의견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으며, 본 면담은 2019년 11월 28일 2시간 30분 동안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실용적 절충주의 분석법에 따라 범주와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수의 인식에 관해 <학생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인식>, <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학생맞춤형 통합서비스>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각 범주에 따라 전체 18개의 하위범주를 구성할 수 있었다. 학생맞춤형 통합서비스 범주에서 도출된 8개의 하위범주(상담의 문턱 낮추기, 지역사회 다양한 자원 연계, 학생 요구조사, 모델링 기회 제공, ‘학생성공경험 주기’ 프로젝트 운영, 마음챙김 공간 제공, 찾아가는 성인지 프로그램, 교수의 진로지도 지원)에 따라 대학생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hat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In the method of research, the FGI was conducted on six professors working at a local private university, and with the collected data,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the three categories of , , and were derived on the professor s perception of how to improve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and a total of 18 subcategories c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eight subcategories derived from the student-specific Comprehensive service category,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iscussed. And I made a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