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English Story Books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3rd and 4th Grad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누리(Jeong Nuri) 김정렬(Kim Jeong-r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1호, 117~13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3∼4학년군 영어교육에서 영어 동화책을 활용한 영어과 창의·인성 교육을 하고자 할 때 활용 가능한 동화책을 분석하여보고 창의·인성 동화의 핵심 요소를 파악하여 활용방안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창의성 동화, 인성 동화를 검색하여 독자의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등의 요소로 아동문학계에 기여한 바가 커 수상을 하게 된 작품이나 작가의 책 16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선정의 분석 기준으로 Nutall(1996)의 SAVE, 내용 평가 기준으로는 도덕과 내용 체계,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평가 기준은 박예슬, 김정렬(2016)의 창의·인성 학습활동의 평가지표를 원용하여 16권의 영어 동화책을 분석하였다. 자료선정의 객관적인 평가 준거는 학생들의 영어 수준과 영어 동화책의 수준을 맞추는 용이성(easiness)이었고 창의·인성 동화책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인성 요소는 책임감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 동화책 속에 가장 많이 포함된 창의·인성 요소는 ‘호기심’과 ‘심미성’이고 동화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수업에서 자료 선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성 요소의 유무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glish fairy tale books that have stories about creativity and personality for Elementary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identify key elements of creative and personality fairy tales, and consider ways to utilize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works or authors books that received awards for their contributions to the children s literature community by searching for creative fairy tal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 fairy tales on the Internet. Sixteen English fairy tale books were analyzed using the Save Theory of Nutall (1996), as the basis for analysis of data selection; the content system of moral education as the basis for content evaluation; and evaluation indexe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learning activities of Park Yeseul and Kim Jeong-ryeol (2016),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hen selecting data, the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were based on the students’ English comprehension level. The most frequent personality factor in the books was responsibility. However, the most frequently include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lements in English fairy tales were curiosity and aesthetic appreci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ality factor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data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classes using fairy tale boo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