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Classical Teaching Methods to Induce Creative Think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주민재(Joo Min Ja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6호, 501~5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국문 초록
융복합교육적 관점의 도입은 이해중심의 고전교육에서 탈피하여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문제해결 중심의 고전교육은 학습자가 확산적 사고하기를 통해 특정한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에 유용한 새로운 아이디어나 결과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교수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문제해결 중심의 고전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고전 텍스트 새로운 범주화와 함께 융복합교육적 관점을 활용한 교수법의 시행이 필수적이다. ‘학습자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확산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교육 콘텐츠를 융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하고 학습자가 산출한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독창적이고 유용한 수준의 의미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정교한 교수학습 단계들이 설계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introduction of multifaceted educational perspectives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creativity by breaking away from classical education of understanding. ‘Problem-solving oriented classical education’ should focus on teaching strategies that enable learners to produce new ideas and outcomes that are useful for problem solving in a specific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rough diffuse thinking. In order for ‘classical education based on problem- solving’ to be activate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new categorization of classical texts as well as teaching methods that utilize the mixed- curricular viewpoint.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creativity, sophisticated teaching and learning steps should be designed so that educational contents can be presented in a complex structure, and ideas developed by learners can be developed to provide original and useful semantics.
목차
1. 서론
2. 고전교육의 방향 전환
3. 융복합교육적 관점의 적용과 문제해결 중심 고전교육
4. 융복합교육 관점에 입각한 고전 텍스트 교수학습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