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Writing Block’s Patterns and Perception of Preliminary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은섭(Jang Eun Seob) 송주영(Song Ju You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6호, 253~28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필자의 보편적 경험인 쓰기 막힘에 대해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102명의 생활담을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결과, 쓰기 막힘의 내적 원인으로 12가지 세부 요인을, 외적 원인은 7가지를 제시하였다. 내적 원인은 쓰기 막힘이 필자의 사고활동과정에서 정보 간 새로운 연관성을 발견하고 성공적인 글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고, 외적 요인으로는 학생이 완성한 글 중심의 경직되고 부정적인 피드백이 쓰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심화시키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논의는 학생인 동시에 필자로서의 경험과 예비교사인 동시에 교수자로서의 인식이 통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써, 이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쓰기 과정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필자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보편적 특성 때문에 학문적으로도 교육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riting block proceed with case study through the comparing and analysis of preliminary teachers, 102(life-story method) who are attending the education university in korea.
A result of this research divided as the cause of inner and outer of the writer. A cause of the inner divided as 12 detail factors again, and 7 outer factors. In inner cause, the writing block discovered a new connection with information in the creative activity processing of writer, which appeared as a mental burden about a successful writing. In the external factor, the student’s writing was so hard and negative that to write feedback showed a negative awareness and attitude.
The experience of writing block of preliminary teachers reflected teachers’ awareness formed in training course as an experienced writer. After that, the teacher applied to offer students’ feedback and check their writing processes in the school field.
목차
1. 머리말
2. 쓰기 막힘의 개념과 특성
3. 연구 참여자 특성 및 연구 방법
4. 쓰기 막힘 양상과 인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