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gges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Discovery Ability in Academic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민정호(Min Jung Ho)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6호, 227~2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가 읽기와 쓰기가 결합된 ‘융합적 과제(Hybrid task)’의 성격을 갖지만 읽기를 고려한 연구가 부족함을 전제로 ‘읽기’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그래서 학술적 글쓰기 ‘저자성’에서 ‘발견(Discovery)’ 국면을 ‘쓰기를 위한 읽기’로 정리하고, 이 국면에서 ‘이해(comprehension)’를 ‘상황 모형(situation model)’과 ‘텍스트기저(textbase)’로 나누고 ‘발견 능력’을 구체화했다. 우선 ‘텍스트기저’ 차원에서의 교육 내용은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해서 텍스트의 수사적 구조에 대한 지식, 그리고 동일 화제를 다른 수사적 구조로 구성한 텍스트를 읽고 쓰는 것 등을 제안했다. 또한 ‘상황 모형’ 차원에서는 ‘응집성(coherence)’이 결핍된 텍스트를 통해서 추론 능력을 향상하도록 하고, 이때 떠오른 배경지식 등을 ‘자유글쓰기(free writing)’를 통해 표현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이와 같은 ‘발견’한 내용들은 ‘개요 쓰기’로 종합할 것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discussion around reading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on it, though the academic writing is characterized by a ‘hybrid task’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It, therefore, arranged the aspect of ‘discovery’ as ‘reading for writing‘ in academic writing ‘authority’, dividing comprehension into situation model and textbase and specifying discovery ability at the aspect. At first, it suggested knowledge for the rhetorical structures of texts and both reading and writing of texts in which the same issues are constructed with different rhetorical structure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discovery ability at the level of ‘textbase’. In addition, it encouraged foreign graduate students to enhance their inferential ability by using texts without coherence and express the emerging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free writing, at the level of ‘situation model’. Moreover, it recommended to synthesize such ‘discovered’ contents to ‘outline writing’.
목차
1. 머리말
2.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발견 능력
3.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