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hort-Run Equilibrium and Pasinetti Steady-State Growth Path in the Post-Keynesian Two Sector Model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이상헌(Lee, Sangheon) 고민창(Ko, Min-Chang)
- 간행물 정보
- 『사회경제평론』 제63호, 39~7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구성된 포스트케인지언 2부문모형을 구축하고 임금률 상승이 성장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를 논한다. 아울러 자본가뿐만 아니라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고용된 노동자 또한 저축한다고 가정함으로써 파시네티 균제성장경로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업부문에서는 임금주도성장이 성립하지만 서비스부문에서는 임금주도성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둘째, 지대율의 상승은 단기균형 설비가동률과 자본축적률을 감소시키지만 장기의 균제성장 설비가동률과 자본축적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자본가계급의 저축성향은 균제성장 자본축적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노동자계급의 저축성향은 균제성장 자본축적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structs a Post-Keynesian two-sector model consisting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analyzes the Pasinetti steady-state growth pat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age-led growth is establish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ut not in the service sector. Second, an increase in the rental rate decreases the short-run equilibrium rate of capital accumulation, but does not affect the long-run steady-state rate of capital accumulation. Third, capitalists propensity to sav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ong-run steady-state rate of capital accumulation, whereas workers propensity to save has no effect on the long-run steady-state rate of capital accumulation.
목차
I. 서 론
II. 포스트케인지언 2부문 모형
III. 단기균형 분석
IV. 파시네티 균제성장경로 분석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