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re-service History Teacher’ Class Observation in Microteaching: Focused on the Course of “Materials and Methods in History Teach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자(Kim Sungj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0호, 17~4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의수업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은 무엇을 중심으로 수업을 관찰, 분석, 평가하는지, 여기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K대학 2019년 2학기 역사교육과 전공 수업인 ‘역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강의에서 예비교사들이 동료들의 모의수업을 참관하고 작성한 수업 관찰문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분석·평가 기준을 추출하여 각 항목별로 빈도를 추출하고, 수업 관찰·분석·평가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역사 예비교사들이 수업 관찰문에서 기술한 주제의 빈도는 수업의 단계별 흐름, 학습자료, 적절한 설명, 수업모형, 목소리·시선·움직임, 학생 활동, 발문의 활용, 학생에 대한 고려, 소주제 및 핵심내용설정, 수업내용조직 및 유기적 연관 설정, 판서 순으로 높았다. 예비교사들은 주로 수업 설계보다는 수업 실행의 측면에, 그리고 범교과적인 수업 기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 역사 교육의 목적, 역사교육관, 수업의 전체적인 일관성 분석 등에는 주목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의 역사 이해와 관련된 문제의 경우 수업 혹은 설명이 학생의 이해 수준에 적합한가를 중심으로 축소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revealed in microteaching of pre-service history teachers. For this we analyzed class observation in the course of “materials and methods in history teaching” at K University.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history teacher were more interested in the performance of the class than in the design of the class, and in the art of cross-curricula teaching skills. On the other hand, reference to the subject-specific context of history lessons was found mainly in the description of teaching-learning model and appropriate historical explanations. pre-service history teachers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and analysis of the overall consistency of classes. In addition, problems related to histor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were reduced by focusing on whether lessons or explanations are appropriate for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