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Sc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영(Miyoung Kim) 백성혜(Seoung-Hey Pa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0호, 43~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적·국가 정책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그 방향성과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9년 사이에 발행된 등재학술지 논문 10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여 이를 발행연도, 연구내용, 연구대상, 인문사회 관련 교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까지는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015년 개정교육과정 시기부터 논문 수가 증가하지만, 이는 다른 분야의 융합교육 연구물에 비하면 미비한 실정이다. 둘째, 연구내용별 결과는 이론연구가 많고 수업현장에 적용되는 개발연구와 효과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연구대상은 문헌이 가장 많고,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생 순으로 연구 빈도가 줄어들었다. 특히 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매우 적었으므로 미래 인재 교육을 위해 교사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넷째, 과학과 융합하는 인문학 교과들의 빈도를 알아본 결과 국어 교과가 가장 많고, 사회, 인문, 역사, 도덕·윤리, 지리, 영어, 경제 등의 순으로 융합되었다. 따라서 인문학의 다양한 교과와 과학의 융합적 시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science, which holds key significance for academic and governmental policies, and suggest a direction and detail the implications. To achieve this, we studied 102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7 and 2019,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ir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content, research subject, and the humanities subject addressed. The research outcomes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was rarely conducted on the topic until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introduced, after which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creased; however, the volume of research is still inadequate when compared to that of STEAM. Second, among the research types, there is much theoretical study, but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ts development and effects, which would actually be applied in the classroom. Third, literature was the most common subject of studies, followed by high school, middle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escending order.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however, we believe more vigorous research on them would b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convergence education. Fourth, on the basis of studying the frequency with which humanities subjects converged with science, we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subject showed the highest number, followed by social studies, humanities, history, ethics, geography, English, and economic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