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 Analysi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옥한(Yoon, Ok Han) 김인영(Kim, In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0호, 63~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의 현황을 국적별,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분석하여 진로와 직업 교과서 재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로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진로와 직업」교과서 3종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은 우리나라의 인물이 56.1%로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성별은 남성이 전체 인원의 73.7%, 여성이 26.3%로 남성 인물이 압도적으로 많이 수록되었다. 셋째, 연령대의 경우 40대가 24.6%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고인이 21.9%로 이어 30대, 50대, 60대, 20대, 70대, 80대이며 90대 인물도 1명 수록되어 있었다. 넷째, 직업은 9개의 대분류 중 ‘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전체의 65.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하위 중분류에서는 ‘28.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들의 국적과 성별 편중이 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이러한 편중 현상이 해소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분야의 직업을 가진 인물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presented in figur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by nationality,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 goal wa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diversity of people depicted in illustrations. Data were drawn from three textbooks published in 2015 that used the revised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 curriculu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 total of 13 countries were represented in the figures depicted in the textbooks. First, figures related to Korean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56.1%) of figures. Second, gender representation was overwhelmingly higher for male figures, accounting for 73.7% of the total, while women appeared in only 26.3% of figures. Third, regarding age group representation, people in their 40s had the highest representation (24.6%), followed by deceased persons (21.9%), people in their 30s, 50s, 60s, 20s, 70s, 80s, and one person in their 90s. Fourth, occupational representation favored experts and high-profile professions (culture, arts, sports professionals, and related jobs) and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depictions (65.8%). The study found that biases related to nationality and gender of the characters in textbooks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 observed biases should be addressed and in particular, people with more diverse occupations should be inclu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