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Low-Career Teachers’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지(Kim Minji) 김현욱(Kim Hyunw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195~2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저경력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수준을 알아보고,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주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초등 저경력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고 그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1개월간 초등교사 커뮤니티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49명의 저경력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 저경력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생활지도, 교수-학습, 행정-관리, 교원인사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 저경력 교사의 심리적 소진 수준 역시 모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특히 담당 학년에 따라 행정업무 부담감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교과전담교사가 담임교사보다 무능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초등 저경력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수-학습과 생활지도로 인한 스트레스가 교권에 대한 위기감, 좌절감, 교직 회의감 등의 심리적 소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경력 초등교사들이 심각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겪지 않도록 적절한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low-care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To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9 through the teacher community, and the data from 149 low-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groups of low-career teachers in the job stress. Overall, the level of job stress for ‘student guidance’, ‘teaching-learning’, ‘administration-management’, and ‘personnel affair’ was high. Second, the level of psychological burnout of low-career teachers was also high,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in ‘task burden’ depending on the grade in charge. In addition, the subject teachers often felt more incompetent than the homeroom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caused by ‘teaching-learning’ and ‘student guid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such as the ‘sense of crisis’, ‘frustration’, and ‘skepticism’.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as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for low-care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to avoid severe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