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Evaluation Systems of both the Teaching Practicum of U.S. Standards and two universities for exploring items for a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ITP) Evaluation T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옥(Kim Youn Ock) 윤소영(Yun Soyoung) 설양환(Sol Yang Hw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451~4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들과 미국의 대표적인 교사교육인증기관인 CAEP와 AAQEP의 교육실습평가항목과 기준들을 살펴보고 미국의 한 대학교와 한국의 한 대학교의 국제교육실습평가 항목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국제교육실습의 평가체계 구현 시 필수적인 교사평가 항목 및 기준들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단체에서 제시하는 교육실습 평가의 기준들과 세부항목들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내용을 미국의 U대학교와 한국의 G교육대학교의 국제교육실습 평가항목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CAEP와 AAQEP의 예비교사평가 관련 항목들이 U대학교와 G교육대학교의 평가 항목들에서 드러남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와 더불어 U대학교와 G교육대학교 각자의 가치와 실정이 반영된 추가 평가항목들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CAEP와 AAQEP의 평가항목들은 첫째, 평가단체와 프로그램, 프로그램 참여자 및 지역 공동체를 아우르는 다양한 평가의 내용들을 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로, CAEP와 AAQEP의 평가항목들이 국제교육실습 평가 항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 때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실정에 맞는 추가적인 기준들도 포함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ing practicum evaluation items and future standards of domestic universities, abroad universities, and two leading U.S. teacher education accreditation institutions; CAEP and AAQEP.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ITP) evaluation items of a university in the U.S. and a university in Korea to derive the necessary teacher evaluation items and standards in implementing the evaluation system of a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To this end, the criteria and details of the evaluation of teaching practicum presented by the two organizations were analyzed, and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outcomes(evaluation factors) were compared with the evaluation items of ITP of U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nd G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As the research results, the pre-service teacher evaluation items of CAEP and AAQEP were found to have been revealed in the evaluation items of both U University and G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n addition, there were additional evaluation items reflecting the values and actual conditions of U University and G University of Educa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evaluation items in CAEP and AAQEP contained, first, a variety of evaluation covering assessment organizations, programs, program participants and local communities. Second, we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standards as an evaluation system for an ITP. Further issues such as additional criteria to meet each university’s actual conditions of the program and its participant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국내외 교사양성 기관의 국제교육실습 평가체계 현황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