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in a transitional phase towards stage of exclusive use of digital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대권(Kim Dae Kwon) 이재창(Lee Jae Ch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651~6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교과서의 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초안을 도출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을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는 관련분야 전문가 10명이 참여하였으며 2019년 8월 1일부터 2020년 2월 25일까지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영역 10지표, 교수설계영역 11지표, 교수학습영역 9지표, 기술영역 6지표, 관리영역 3지표, 평가영역 4지표 등 총 43개 항목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에 첫째,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평가기준 중 핵심적이고 공통된 요소들을 두루 포함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육부의 스마트교육 취지와 21세기 학습자 역량 향상 방안에 부합하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셋째, 현재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병용단계 또는 보조단계 수준으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서책형교과서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내용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고루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이 현장에서의 양질의 디지털교과서 선정 및 보급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develop a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in a transitional phase. Current state is inter-compatibly using digital textbooks and book-type textbooks. We intended to more practically diagnose the current state based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deepening. This study developed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by delphi method research. Delphi method research conducted twice with 10 expertises on digital textbooks from 2019. 8. 1. - 2020. 2. 25.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deducted 43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10 criteria on the contents area, 11 criteria on the learning design area, 9 criteria on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area, 6 criteria on the technique area, 3 criteria on the management area, 4 criteria on the evaluation area.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criteria first included a variety of key and common elements among the evaluation criteria covered in prior studies, and second, reflected the purpose of smart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lan to improve learners’ competency in the 21st century, and third, considered the connection with book-type textbooks, and fourth, tried to develop a criteria that included both the learning content and technical el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디지털교과서 평가도구 개발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