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Specific Content Vocabulary in the North Korean 6th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인(Park, Sun-in) 김정렬(Kim, Jeong-r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707~7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 중학교 6학년 영어교과서를 코퍼스 기반으로 분석함으로써 일반 어휘와 학술어휘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 전문 어휘 목록을 작성해 북한 영어 교육 의 특징을 알아보려는 목적이 있다. 교과서에 영어로 기록된 모든 자료를 코퍼스로 구축했고, 자료 분석은 AntConc(AntConc 3.2.4w)와 Range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AntConc의 어휘 목록(word list)과 콘코던스(concordance) 기능을 주로 이용하였고, Range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적인 특성을 도출하고 레마화를 거친 코퍼스를 일반어휘, 학술어휘, 전문 어휘로 분석하였다. 연구 코퍼스의 내용어(content word)에서 GSL(General Service List)과 AWL(Academic Word List)을 제외함으로써 전문 어휘 목록을 추출하고 통합교육 관점에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북한 중학교 6학년 영어교과서는 GSL 1000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어휘의 반복 학습을 통한 교육을 지향한다. 학술어휘의 비율은 2%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낮은데다 사회주의 이념을 담고 김정일을 찬양하는 어휘 위주로 등장하고 있다. 전문 어휘는 체육, 수학, 예술 등 여러 교과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난다. 비중은 사회과가 32.9%로 제일 높고 그 다음이 과학과 체육으로 세 교과의 전문 어휘 비율이 82.4%를 차지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북한 중학교 6학년 영어교과서가 일상적인 소재나 흥미 위주의 텍스트 보다는 주체사상과 사회주의 체제를 공고히 하고 과학 인재를 양성하려는 의도가 담긴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Sixth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vocabularies by corpus-based analysis. To analyze vocabularies the current study used the North Korean English textbook corpus, and processed the corpus with AntConc and Range programs. The analysis mainly employed two functions: Word list from AntConc, and Concordance from Range. The study lemmatized and analyzed the English text in the corpus to classify general, academic, or specific content vocabulary lists. By deducting GSL (General Service List) and AWL (Academic Word List) from textbook word list in the research corpu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specific content vocabulary list and their appropriated academic disciplines. The findings are: North Korean Sixth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included GSL 1000, and GSL 1000 appeared repeatedly in the textbook. The percentage of academic vocabulary is below 2%, even in the subject of Socialism and Kim Jongil. Specific content vocabulary appeared from the subjects such as Physical Education, Mathematics, and Arts. Social Studies had the highest percentage as 32.9, then Science and P.E were followed, and those three subjects took 82.4 percentage of the list. Those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textbook were consisted of Juche Idea and Socialism to maintain the North Korean system, and educating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ed students rather than daily, casual or interesting tex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