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caregiver experienced in childcare practice Research on str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성호(Sungho Hong) 강혜원(HyeWon Kang) 유미림(Mirim 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777~8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 2019년에 진행한 보육실습에서 227명의 예비보육교사 스트레스 유형을 분석하였다. 도출된 항목은 교사역할영역, 실습평가영역, 실습환경영역, 교사·원장 및 동료실습생과 관계영역으로 분류되었고 면담준거를 설정하여 반구조화 된 면담지를 개발하여 4명씩 2그룹으로 심층면담을 2회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자료의 해석, 코딩, 분류 등의 유기적 데이터 분석을 하였고 파랑새 2.0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역할영역에서 상호작용과 문제행동 대처, 서류와 일지, 학부모 응대, 낮잠, 식사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인식하였고 둘째, 실습평가영역에서 불분명한 피드백과 지도방법, 평가, 보육실습의 관리체계 부족을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실습환경영역에서 휴게시간 보장, 교사실 및 휴식공간 부족, 개인비용 지출의 부담을 스트레스로 인식하였고 넷째, 원장 및 동료실습생과 관계영역에서는 지시, 비교, 잡무, 예측불가 상황의 초과근무, 업무가중, 소통단절, CCTV를 스트레스로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tress types of 227 pre-care teachers in pre-care education in 2019 to find out the stress of pre-care teachers experienced in child-care practices. The derived items were categorized into teacher role area, practice evaluation area, practice environment area, teacher/president, and fellow trainees, and developed semi-structured interview papers by setting interview criteria. Proceeded. The collected data was transferred and analyzed organic data such as data interpretation, coding, and classification, and Bluebird 2.0 was used. Results of the study First, in the role of teacher, interaction and problem behavior coping, documents and journals, parent interaction, nap, and eating guidance were perceived stress. Second, in the practice evaluation area, unclear feedback and instruc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ildcare practices System shortage was recognized as a difficulty. Third, in the practice environment area, rest time guarantee, lack of teacher room and rest space, and personal expenses were perceived as stress. Fourth, in the area related to the director and fellow trainees, overtime work in the direction of instruction, comparison, mishandling, and unpredictability, I perceived work weigh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and CCTV as str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