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정리(Ko, 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809~8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교육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12년간 발표된 학술지논문 124편을 분석기준에 따라 연구시기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시기별로는 2015년~2018년 시기에 유아교사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주제별로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또는 모형 개발 및 적용이 꾸준히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관리자(원장, 원감)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의 비율도 다소 늘어나고 있으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저조한 수준이었다. 넷째,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꾸준히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유아교사교육 관련 연구가 주제나 대상, 방법적인 면에서 현장의 관심이나 요구를 반영하면서 좀 더 다양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124 journal articles from 2007 to 2018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chronology, research subject,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The data collected is analyzed and shown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research chronology,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rom 2015 to 2018 were majority. Second, on research subject, teacher education program or model’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as majority. Third, on research object, present teacher was majority. But, research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low continuous. Forth, on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was majority. Later, it is necessary to take variously on research subject,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flecting field’s deman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