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Home Economics Maker Classin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샛별(Kim, Saet-Byeol) 채정현(Chae, J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1309~13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3요소(창작자, 창작활동, 창작공간)를 갖추어 고등학교 가정과 수업시간에 실행한 메이커 교육의 사례를 고찰해 가정과 교육과정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가능성과 수업 효과를 탐색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대구 S고등학교 1학년 24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 수업시간에 12차시의 가정과 메이커 수업을 실행한 뒤, 9명(남학생 2명, 여학생 7명)의 연구 참여자와 심층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 메이커 수업의 효과를 1) 인지 발달 2) 자아 성장 3) 사회성 향상 3가지 주제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이 수업 내용의 이해 및 자신들의 고차원적 사고 발달에 도움이 되었으며 주체성, 자신감과 자존감, 도전 정신 등 자아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을 통해 친구 관계의 발전 뿐만 아니라 사회에 관한 인식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자는 가정과 메이커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과 가정 수업시간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가정과 메이커 교육을 학내 교우 관계 등 사회 정서적 측면의 문제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교육의 한 방안으로 학교 정규 교육으로서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Maker education is a process-oriented education method that gives learners various educational effects while completing a specific outcome to actively resolve individual interests or community issues in a class. Although researches to introduce maker education into school curriculums are recently conducted,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studies examining the effects of maker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to meet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in a regular curriculum. Another limitation is that most studies ar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Thus, this study conducted a home economics class in Chapter 6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urse to 240 first-year student at S high school in Daegu, as well as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9 participants (2 male students and 7 female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this research could categorize the meaning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into three: 1) cognitive development; 2) Self-growth; 3) social improvement. The students perceived that home economics maker class helped them to develop higher-dimensional thinking, understand their class contents, and grow themselves such as independence, confidence, self-esteem, and challenging spirit. In addition, the students showed not only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s but also the improvement of their awareness on society through the home economics maker clas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the researcher proposed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eachers in home economics maker class and a curriculum, and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class in school educa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prevent problems in relations and emotions at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가정과 메이커 교육의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