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uick Incidental Learning of Words by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 Eye-tracking Study
이용수 1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하은(Haeun Chung)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499~5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선추적기를 활용해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정상 발달 아동이 새로운 어휘 학습 시에 보이는 실시간 처리 어려움을 살펴보고, 빠른 우연 학습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0명과 일반아동 20명이 참여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빠른우연학습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정상 발달 아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에 비해 빠른우연학습 과제의 어휘학습 평가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두 집단 간에 시선 고정 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고정 시간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여러 번의 노출에 따른 평균 고정 시간을 살펴본 결과, 정상 발달 아동의 고정 시간은 첫 번째 노출에서 마지막 노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한 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고정 시간이 감소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빠른 우연 학습 과제에서 단순 언어 장애 아동은 어휘와 해당 어휘가 지칭하는 물체를 성공적으로 연결 시키는 데 어려움을 보였으며, 또한 과제 후반부까지 지속적으로 주의 집중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빠른 우연 학습 과제에서 보이는 저조한 수행은 새로운 어휘를 탐지하여 처리하는 데에 관여하는 주의 기능의 결함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s goal is to use eye-tracking technology to learn more about children’s online novel word-learning processing abilities in a 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 task to examine how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exhibit different patterns when learning new words and how these differences in looking behaviors lead to different learning results. Methods: Twenty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ge: M=5.15 years) and 10 children with SLI (age: M=5.11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completed a QUIL task while their eye movements were recorded using an eye-tracking device. The fixation count number and the average fixation time on target word AOIs (Areas of Interest) were analyzed and heat map analysis was also conducted. Results: The analysis of eye-tracking measures revealed different patterns between groups. The TD group’s fixation duration on AOIs gradually increased from first to last exposure, whereas the SLI group showed decreased fixation duration over time. Heat map analysis showed that the SLI group fixated less on target AOIs and their gazes were widely scattered compared to the gazes of the TD group.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fixation time and learning. Conclusion: For TD, words and their referents were correctly inferr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words and referents was strengthened over time. Children with SLI had difficulty associating novel labels with novel objects, as indexed by less time spent looking at AOI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QUIL of words by children with and without SLI in a natural context.
목차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