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in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피민경(Minkyeong Pi) 소금빈(Geum-Bin So) 하승희(Seunghee Ha)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696~709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을 비교하고, 말소리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라 음운처리능력의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말소리장애 아동 32명과 일반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을 조음장애, 음운지연, 음운장애 유형으로 나누어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보았다. 음운 인식 능력은 음절, 음소 수준으로 나누었다. 음운단기기억 능력은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와 숫자 따라말하기, 음운작업기억 능력은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다. 빠른 자동 이름대기 능력은 숫자와 글자 자극을 사용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 간에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를 제외한 모든 음운처리과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말소리장애의 하위 집단 간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본 결과,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는 음운장애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 과제는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숫자 빠른 자동 이름대기 과제는 음운지연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말소리장애 아동을 단일 집단으로 일반 아동과 비교했을 때에는 음운처리과제 중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과제의 임상적 유용성을 시사하고 있다.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별로 음운처리능력이 유의하게 다른 것은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별로 중재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PPA) betwe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S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in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and to examin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ccording to subtypes of SS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2 children with SSD and 2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first to the third grades. Children with SSD were divided into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phonological delays, and phonological disorders. The tasks for PPA consisted of (1) phonological awareness (PA) tests at syllable and phoneme levels, (2) phonological memory (PM) tests including non-word repetition (NWR), digit forward recall (DF), and digit backward recall (DB), and (3)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tests conducted by numbers and letters. Results: Children with SSD and T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W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PA among subgroups of SSD,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NWR and the RAN tha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Also, children with phonological delays and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DB task tha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hildren with SSD and TD in NWR task among the PPA tasks, suggest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NWR task.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SD form a heterogeneous group who differ in terms of involvement of other aspects of speech processing model.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