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辰弁韓 ‘國’의 形成과 變動

이용수 426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Jinbyeon-han(辰弁韓), Guk(國)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성주(Sung Joo, Lee)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9호, 27~6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辰弁韓 ‘國’의 성격과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1970년대 말 80년대에 역사학계에서 고고학 자료를 일반적 진화발전도식에 대입시키는 해석을 시도한 바 있다. 고고학계에서는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國’에 대해 접근할 때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고 어떤 관점과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검토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때의 연구는 주로 일정 영역에 분포하는 분묘군을 분석하여 ‘國’이라는 정치체의 규모나 조직에 대해 논의한 것이었는데 이러한 접근은 현재로서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듯하다. 이 논문은 진변한 ‘國’ 연구에 대한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여기서는 진변한 ‘國’을 사회발전의 한 단계로 파악하지 않고 복합사회의 한 양상으로 간주하고 불균등하고 가변적인 복합사회의 변동과정에서 살펴야 한다고 보았다. 특정 역사적 맥락을 배경으로 한 권력관계와 사회적 행위자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할 것과 원사시대 주변사회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가 진변한 ‘國’의 연구에 많은 참고가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진변한 ‘國’의 실체와 변동에 대한 논의에서 이 논문은 첫째, 영역과 집단의 정체성, 둘째, 중심지의 형성과 국읍의 경제적, 정치ㆍ이념적 역할, 셋째, 분묘군과 수장묘에 나타난 사회적 위계와 지배 권력의 성격 등을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해 보았다. 요약하면 정치체의 성장이 앞서갔던 영남 동남부지역에 있어서도 ‘國’의 규모나 조직적 특성은 불균등한 상태였고 각 ‘國’들의 성장과정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음을 지적할 수 있었다. 특히 개별 ‘國’의 지리ㆍ생태적 배경, 자원의 분포와 생산체계의 발전, 사회적 네트워크상의 위치, 주변 ‘國’들과의 관계 및 통합의 여지 등에 따라 발전의 양상은 달랐던 것 같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how to approach the rise and development of Guk(國)s in Jinbyeon-han, a bundle of politie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First I suggest that it would be more helpful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of the Jinbyeon-han politie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socio-political developments in the ‘tribal-zones’ of the proto-historic period based on the social-actor perspectives rather than the systematic considerations about the evolutionary processes of the autonomous social entities. From the examinations on size, organization, and centralization of individual Guks,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y showed the different developmental trajectories according to the locations within the geographical settings and the social networks, the craft-specialization supported by the leaderships and the strategic self-representations of the tribal identities.

목차

Ⅰ. 머리말
Ⅱ. ‘國’에 대한 고고학적 논의의 관점
Ⅲ. 原史時代 주변사회의 비교사적 연구
Ⅳ. ‘國’의 실체와 변동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주(Sung Joo, Lee). (2017).辰弁韓 ‘國’의 形成과 變動. 영남고고학, (79), 27-62

MLA

이성주(Sung Joo, Lee). "辰弁韓 ‘國’의 形成과 變動." 영남고고학, .79(2017): 27-6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