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ants of Imports of K-Beauty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김도현(Do-hyun Kim)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5卷 第3號, 107~1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한류의 성장을 통한 효과적인 K-Beauty의 세계화 전략을 위한 K-Beauty의 현지국 수입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995년부터 2019년까지 127개국의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공간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전체 국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 및 대양주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는 K-Beauty 수출, 독립변수로는 한류문화콘텐츠 수출, K-Beauty와 한류문화콘텐츠를 제외한 수출, 외국인 입국자 수, 한국 기업의 대상국 해외직접투자 규모를 사용하였으며, 더미 변수로는 한국과의 FTA 체결 여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보면, 전체 국가에서는 K-Beauty 수출과 오차항은 주변 국가의 수출에 정(+)의 영향을 주는 공간효과가 있으며, 아시아, 유럽, 중동 지역에서 공간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국가 간의 근접도가 K-Beauty 수출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공간효과를 고려한 수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 제품의 사용은 호기심 증가와 문화의 친숙도 증가로 K-Beauty 제품 사용 증가로 이어진다. 한국 제품의 수출은 K-Beauty 수출에 긍정적인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박람회 등 한국 제품의 수출과 연계한 K-Beauty 수출 전략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한류 문화콘텐츠 상품의 수출도 K-Beauty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공격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K-Beauty s import for an effective globalization strategy of K-Beauty through the growth of the Korean Wav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effect model using panel data from 127 countries from 1995 to 2019.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all countries, Asia, Europe, America, the Middle East, Africa and Oceania. As the dependent variable, export of K-Beauty, export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export excluding K-Beauty and Hallyu cultural contents, number of foreigners, and the siz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arget countries and FTA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In all countries, K-Beauty exports and error terms have a spatial effect that has a positive (+) effect on export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a spatial effect appears in Asia, Europe, and the Middle East.
Conclusions : As the proximity between countr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K-Beauty exports, an export strategy that considers spatial effects will be needed. Since the export of Korean products has a positive and large impact on the export of K-Beauty,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K-Beauty export strategy in connection with the export of Korean products such as fairs. The export of Hallyu cultural content products has also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 of K-Beauty,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ggressive strategy through a digital network.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