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Academic Failure Self-Disclosure of Learners: The Mediating Role of Learners Positive Emot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세미(Moon Se Mi) 김종백(Kim Jong Bae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8호, 473~4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학습실패가 학업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실패경험을 타인과 공유하고 개방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나 실패경험의 개방은 사람에 따라서 부정적인 정서를 불러온다. 그러한 상황 중 하나가 부모의 학업 관련 압력이 크다고 자녀가 지각하는 경우가 그렇다. 즉, 부모가 학업에 대해 과도하게 압력을 행사하는 경우 자녀는 학업실패를 경험했을 때 그것을 타인에게 개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자녀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부모의 학업에 대한 압력과 실패개방 사이 문제를 완화해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학습자들의 긍정성과 학습실패 개방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들의 긍정성이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과 학습실패 개방사이를 매개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10월부터 11월 까지 서울, 경기도 및 인천지역에서 자원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416부의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정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은 학습자의 긍정성과 학업실패 개방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학습자의 긍정성은 학업실패개방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긍정성은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과 학습자의 학습실패 개방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students positive emotion and learners academic failure self-disclosure, and further investigates whether students positive emotion mediates between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students self-disclosure of academic failure.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416 middle school students via self-report survey, for which three types of measures to assess the targe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utilized respectively. The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bootstratpping. The specific outcome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pressure on time for studying showed negative relations with learners positive emotion and academic failure self-disclosure. Meanwhile, learners positive emtoion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cademic failure self-disclosure. Second, learners positive emotion partially mediated bewteen parents pressure on time for studying and learners academic failure self-disclosure. The results of the study propose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as to how teachers and parents help their students to willingly disclose their academic fail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