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s Experience on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public future school DeobuleoseongjangHakgyo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민경(Lee Min-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8호, 19~4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A 시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과 수업으로 혁신하여 운영한 공립형 미래학교인 더불어성장학교 경험에 대한 교사들의 의미화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교사들이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과 수업 경험을 교사 역할의 재구성과 관련하여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내러티브에서 두드러지는 더불어성장학교 경험의 의미는 1) 학생들을 새롭게 발견하다. 2) 학생들의 미래역량 향상을 목도하다 3) 교사정체성을 재구성하다 4) 시행착오를 통해 성장하다 등 4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처럼 더불어 성장학교 경험은 학교운영부터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등 거의 모든 것을 자율적인 교사협의체로 구성해 온 교사들에게는 끊임없는 고민과 도전, 그리고 성장의 과정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학습자중심 교육과정과 수업의 의미를 미래사회의 변화와 교사역할과의 연관속에서 논의함으로써 한국교육문화에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Deobuleoseongjanghakgyo, a public future school operated by A City by innovating and operating with learner-led curriculum and classes. In particular, it explored how teachers interpret learner-led curriculum and teaching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restructuring of teacher rol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or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Deobuleoseongjanghakgyo experiences that stand out from the teachers  narrative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rediscovery of students 2) possibility of improving future competencies 3) reconstruction of teacher identity 4) self-growth through trial and error. This empirical meaning implies that the growth school was a process of constant worries, challenges, and growth as a teacher for teachers who have composed almost everything from school operation to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class as an autonomous teacher counci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culture were described by discussing the meaning of learner-l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relation to the role of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미래형 교육혁신 선행연구와 사례 검토
	                       
	                          Ⅲ. 학습자중심교육과 더불어성장학교
	                       
	                          Ⅳ. 연구방법
	                       
	                          Ⅴ. 더불어 성장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의미화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