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 factors, person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perceived by Youth Who do Not Attend college on the life’s satisfaction - Concentrating on Late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엄순옥(Um Soon Ok) 김혜진(Kim Hye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8호, 747~7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진학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요인(긍정적, 부정적양육태도), 개인요인(자아존중감, 공격성,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6년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부합하는 528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최종 조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비진학 청소년의 부모요인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β=.210, t=4.920, p<.001)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부정적 양육태도(β=-.093, t=-2.037, p<.05)는 3단계에서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4단계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개인의 정서문제인 공격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사회적 위축(β=-.154, t=-3.240, p<.01)은 비진학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고, 자아개념인 자아존중감(β=.467, t=-10.162, p<.001)은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부모가 자녀의 의사를 존중하고 애정과 칭찬으로 용기를 주는 온정적 태도를 보일수록 비진학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비진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사회적 위축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선행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특히 비진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β=.467, t=10.162, p<.001)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진학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입과 지역사회에서의 실천적 대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parent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parental factors (positive, negative foster attitude) and personal factors (self-esteem, aggression, and social atrophy) that non-entrance adolescents perceive affect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For this purpose, 528 students who met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teenagers who did not go to university and used them for the final survey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2016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the parent factor of non-admission adolescents is a positive parent-raising attitude (β=).210, t=4.920,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β=-).093, t=-2.037, p<.05)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life in Step 3, but not on Step 4. Second, aggression, which is a personal emotional problem, did not affect social atrophy (β=-.154, t=-3.240, p<).01)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non-schoolers lives and self-respect (β=).467, t=-10.162, p<.001)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s means that the more compassionate parents respect their children s intentions and encourage them with affection and prais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non-schoolers lives. In addition, the self-respect of non-admission youths is in line with the previous prior research results, as it i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atrophy has a negative effect. Self-respect, especially for non-admission youths (β=).467, t=10.162, p<.001) had a high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various programs were introduced and practical alternatives were proposed in the community to enha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non-school yout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